본문 바로가기

업무

비점오염원이란 ?

비점오염원이란?

여러분은 '환경오염'하면 어떤 것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미세먼지, 적조현상, 오존층 파괴 등등 생활 주변에서

많은 환경오염의 문제점들이 부각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비점오염이라는 용어를 들어보신적 있으신가요?

 

아마도 처음 들으시는 분들이 더 많으실텐데요.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합니다.

(물환경보전법 제2조제2호)

 

  • 점오염원(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쉽고,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관거 및 처리장 등
    저감시설의 설계와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합니다.

    - 물환경보전법상 공장, 사업장 등의 폐수배출시설을 예로 들 수 있음

  • 반면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배출량이 강수량 등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저감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 비점오염에는 농작물에 흡수되지 않고 농경지에 남아있는 비료와 농약,
    초지에 방목된 가축의 배설물, 가축사육농가에서 배출되는 미처리 축산폐수,
    빗물에 섞인 대기오염물질, 도로 노면의 퇴적물, 합류식 하수관거에서
    강우시 설계량을 초과하여 하천으로 흘러드는 오수와 빗물의 혼합수 등이 있습니다.
  •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은 상대적 개념으로서,
    공장을 예로 들면 관거를 통해 수집되어 수질오염방지시설을 통해 처리되는
    공장폐수를 배출하는 공정시설은 점오염원인데 반해,
    그 외 처리를 거치지 않고 하천으로 유출되는 강우유출수를 배출하는 야적장 등
    공장 부지(敷地)는 비점오염원입니다.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특성 비교

점오염원

  • 배출원
    : 공장, 가정하수, 분뇨처리장, 축산농가 등
  • 특징
    • 인위적
    • 배출지점이 특정/명확
    • 관거를 통해 한 지점(주로 처리장)으로
      집중적 배출
    • 자연적 요인에 영향을 적게 받아
      연중 배출량의 차이가 일정함
    • 모으기 용이하고 처리효율이 높음

비점오염원

  • 배출원
    : 대지, 도로, 논, 밭, 임야, 대기 중의 오염물질 등
  • 특징
    • 인위적 및 자연적
    • 배출지점이 불특정/불명확
    • 희석, 확산되면서 넓은 지역으로 배출
    • 강우 등 자연적 요인에 따른
      배출량의 변화가 큼
    • 모으기 어렵고, 처리효율이 일정치 않음

비점오염물질의 종류와 영향

그렇다면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비점오염물질이 무엇인지

그리고 그것들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줄까요?

 

길거리에 쌓인 쓰레기들과 애완동물의 배변,

자동차에서 나오는 타이어 파편과 기름성분,

대기중의 먼지가 쌓이는 모든 것들이 다 비점오염물질에 해당합니다.

길을 지나다니면서 그레이팅(하수구의 뚜껑)에 이렇게 쓰레기가 가득한 모습은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있는데요.

사실 이런 쓰레기들이 모여서 하수도를 막게되고 이는 재해상황까지 발생시키게 됩니다.

 

 

 

 

출처 : 환경부 비점오염원 (https://nonpoint.me.go.kr/main.do)

  •